기업 인수 매각 전문기업 한국M&A종합연구소입니다. M&A를 추진하는 기업은 자신의 현황과 목적에 맞는 인수대상 기업을 찾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칩니다.

기업 인수 준비 절차
기업 인수

1. 기업 인수 목적 파악

인수 기업의 주된 목적은 주주 가치 제고입니다. 이는 사업 시너지, 신성장동력 발굴, 기술력 인수, 재무적 투자 등 다양한 이유로 이루어집니다.

1) 사업 시너지: 시장점유율 증가, 수직계열화 등의 전략적 확장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5년 대우증권을 인수한 미래에셋대우나 해태제과 아이스크림 사업부를 인수한 빙그레의 사례가 있습니다.

2) 신성장동력 발굴: 새로운 사업 진출로 준비 기간 단축 및 노하우 획득의 장점을 살릴 수 있습니다. SK 그룹의 반도체 기업 하이닉스 인수, 2019년 세아상역의 태림포장 인수 등이 대표적입니다.

3) 기술력 인수: 새로운 기술 확보를 위해 소프트뱅크의 영국 반도체 설계 회사 ARM 인수 및 구글의 ‘딥마인드’ 인수가 있습니다.

4) 재무적 투자: 사모펀드, 벤처캐피탈 등이 대표적이며, 사업구조 개편 및 효율화, 기업 구조조정 등을 통한 실적 개선으로 기업가치를 상승시켜 투자 차익을 목표로 합니다.

M&A 성공에 이르는 네 가지 철칙 | 경영전략 | DBR (donga.com)

2. 인수 대상 산업군 선정

기업 인수

인수 목적과 사업 계획에 부합하는 산업군을 선정합니다. 주요 고려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존 핵심과 연관된 사업: 자사 자원이나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사업

2) 경쟁 우위 확보 가능성: 경쟁사 대비 상당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사업

3) 역량 있는 파트너 선정: 필요한 역량을 가진 파트너사 선택 및 협업

4) 집중화 전략: 소수 사업에 집중

5) 유연한 사고: 새로운 경영방식 적용

6) 고객 관점의 사업 선택: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

7) 시너지 효과 추구: 결과의 시너지를 고려한 사업 진출

3. 인수대상기업 선정

인수 목적에 부합하는 기업을 선정하는 작업입니다.

1) 시장성 분석: 생산 제품의 시장성 및 성장 가능성 파악

2) 경쟁 관계 분석: 경쟁 구도 및 대상 기업의 경쟁력 평가

3) 고객 유지 가능성: 주요 고객의 유지 가능성 분석

4) 기술 역량 파악: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 평가

5) 브랜드 가치 평가: 브랜드로부터 얻을 수 있는 초과 수익 평가

6) 재무 상태 분석: 부채비율 등 전반적인 재무 상태 파악

7) 법적 요소 검토: 법적 규제 및 소송 상태 등 확인

8)기업 문화 분석: 두 기업 간의 문화적 차이 평가

9) 인수 규모 검토: 과도한 비용 지출 방지 및 현금 여력 평가

4. 인수대상 정밀 분석

정밀 분석은 해당 기업의 전략적 가치를 규명하는 과정입니다.

1) 개별 기업 분석: 기업의 장단점, 시장에서의 위치 등을 철저히 분석

2) M&A 적합성 분석: 법률적 제약, 조직적 문제 등 고려

3) M&A 후 효과 분석: 통합 법인의 가치 변화 및 시너지 효과 평가

4) 잠재적 인수 실패 위험 요소 분석: 기술 패러다임 변화, 브랜드 이미지 감소 등 다양한 실패 요인 검토

5. 인수자금의 조달, 지급 시기 및 형태 고려

인수자금의 지급 시기와 형태를 사전 고려해야 합니다.

1)자금준비: 인수자금의 지급 시기와 형태를 사전 고려

2)지급 방식: 현금, 주식, 유상증자 등 다양한 방법 사용

M&A 대상 기업을 물색하는 과정은 체계적이고 철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혹시 M&A를 고민하고 계시는 대표님들이 계시다면 저희 한국M&A종합연구소에 자문을 구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