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국M&A종합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새로이 발생한 적대적인수합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플래쉬라이트 캐피탈 파트너스(FCP), 1조 9천억 원에 한국인삼공사 인수 제안

서론: 최근 한국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새로운 적대적 인수합병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14일, 행동주의 펀드인 플래쉬라이트 캐피탈 파트너스(FCP)가 KT&G 이사회에 한국인삼공사(KGC) 지분 100%를 1조 9천억 원에 인수하겠다는 투자의향서(LOI)를 제출한 것입니다.

제안의 배경 및 세부 내용: FCP가 제시한 인수 금액인 1조 9천억 원은 KT&G 방경만 사장이 지난해 인베스터 데이에서 밝힌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 7~8배 평가 대비 약 150%에 해당하는 고액입니다. FCP는 한국인삼공사의 높은 잠재력을 강조하며, 한국 전통의 고려인삼이 뉴질랜드의 마누카 꿀이나 중국의 마오타이주처럼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FCP, 인삼공사 인수제안…KT&G “협의 없는 일방적 공개” | 세계일보 (segye.com)

KT&G 한국인삼공사와 FCP의 갈등

한국인삼공사

FCP는 KT&G가 담배 회사로서 인삼 회사를 소유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한국인삼공사의 실적이 급격히 하락한 상황을 언급했습니다. 한국인삼공사의 영업 이익이 2019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사실은 FCP가 제안한 인수의 당위성을 더욱 강조하는 논거로 사용되었습니다.

이상현 FCP 대표는 KT&G 이사회가 인수 제안을 거부한 것에 대해 “키울 능력은 없지만 남에게 주기는 아깝다는 것인가”라며 강하게 비판하며, 한국인삼공사가 새로운 주인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시사점

이번 FCP의 인수 제안은 한국에서 상대적으로 생소한 적대적 M&A 방식이 사용된 사례로, 한국 인수합병 시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과 같은 자본시장 선진국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전략이지만, 한국에서 적대적 인수합병은 드문 사례였습니다. 이는 한국 시장에서도 글로벌 기준에 맞춘 M&A 전략이 점차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또한, 이번 사례는 기업 가치 평가에 있어서 저평가된 자산이 외부 투자자들에게 얼마나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FCP는 한국인삼공사의 글로벌 잠재력에 주목해, KT&G의 현재 경영 전략을 비판하며 인수 의사를 표명했습니다. 이는 기업이 보유한 자산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고 활용하지 못할 경우, 외부 투자자가 이를 노려 기업 인수에 나설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사례는 한국 M&A 시장의 투명성과 기업 지배구조의 중요성을 부각시킵니다. FCP는 KT&G가 한국인삼공사를 관리할 적절한 능력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새로운 경영진이나 주인의 필요성을 주장했습니다. 이는 향후 한국 기업들이 보다 투명하고 효율적인 지배구조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합니다.

결론

한국인삼공사

KT&G와 FCP의 이번 대립은 단순한 인수합병 이슈를 넘어, 한국 M&A 시장의 향후 방향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남깁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한국 기업들은 적대적 M&A와 같은 새로운 시장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은 최근 발생한 적대적인수합병 소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외에도 M&A나 기업 매각 인수에 관심 있으신 분들께서는 저희 한국M&A종합연구소를 찾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