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의사결정에서 회사에 대한 가치평가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죠.
그렇기 때문에, 기업의 가치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들의 미래 수익 창출 능력의 평가액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일반 기업 가치평가

가치평가 중인 회계사

기업의 가치평가는 단순 자산 평가와는 달리 미래에 얼마나 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를 예측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기회와 위험을 동시에 평가하고, 장기적인 성장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가 됩니다.
따라서, 기업의 가치평가는 투자자에게 투자 결정의 근거를 제공하며 기업운영의 가이드 역할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어떤 기업의 가치를 완전히 객관적으로 매긴다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일입니다. 평가자가 평가 대상을 어떻게 인식하느냐,
평가자의 주관은 어떠한가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기업 가치 평가의 목적은 바로 이론적으로 타당한 방법을 활용해, 이해 관계자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공정한 가치를 도출하는 것입니다.

시장가치법

시장가치법을 통한 기업 가치 평가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미래 수익 창출 가능성을 바탕으로 시장 원리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가치를 말합니다.
사실 이론적으로는 기업이 보유한 자산과 수익성 등 기업의 본질적 가치를 최우선으로 평가하지만 실제로는 주식 시장 동향의 영향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시장가치법의 가장 대표적인 접근 방식은, 피 평가 기업의 가치를 비슷한 업종과 규모를 가진 상장 기업의 주가를 통해 상대 비교하여 가치를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비교할 수 있는 상장 기업이 없거나 비슷한 규모의기업이 존재하지 않거나, 주당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이 방법의 적절하게 활용되기 어렵습니다.
또한, 본래 기업은 미래 가능성으로 가치를 평가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대부분 과거 실적을 기반으로 계산하는 한계도 있습니다.
시장가치법을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헉, 우리회사 가치가 겨우…” 최적가격의 황금잣대는 없다 | 경영전략 | DBR (donga.com)

비교 기준 회사 선정

유사한 산업, 목표 시장, 사업 형태, 사업 구조, 재무 위험, 회사 규모, 과거 재무 자료의 비교 가능성 등을 고려해 비교 기준 회사를 선정합니다.

매각 기업의 실질 적용 배율 결정

산업의 특성에 따라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 기업의 재무 지표 분석을 통해 산업에 적합한 가치 창출 동인을 선정하고, 실질 적용 배율을 결정합니다.
통상적으로 제조업은 EBITDA Multiple을, 은행업은 PBR을 적용합니다.

매각기업 배율 결정

매각기업 배율 결정

       *출처: 삼일회계법인

매각 기업의 배율 적용 및 가치평가 결론 도출

결정된 배율을 평가 대상 회사에 적용해 재무적 지표를 분석하고, 유사 기업의 Market Multiple을 적용하여 기업 가치와 주식 가치를 산출합니다.

가치평가 결론 도출

     *출처: 삼일회계법인

미국처럼 M&A가 활발한 시장에서는 기업 거래 시장이 하나의 시장으로 존재하며, 기업 가치에 대한 일종의 시장 승수(Market Multiple)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통 회사는 연 매출액을, 케이블 TV 회사는 가입 가구 수에 일정한 배율을 적용한 금액으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도 합니다.

더 많은 소식 알고 싶으시면 한국M&A종합연구소 뉴스레터를 찾아주시고, 실제 M&A를 고려하시는 대표님이 있으시다면 문의해주세요!

뉴스레터 – 한국M&A종합연구소 (kmaresearch.com)